맨위로가기

타카 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카 왕은 1875년 교토에서 태어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이며, 1937년에 사망했다. 그는 1895년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09년 이세 신궁의 대리 관리자 및 수석 신관을 역임했다. 1907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917년 대훈위 국화대수장을 받았다. 황실 제도 변화 속에서도 신적강하하지 않고 황족으로 남았으며, 교토에서 거주하며 독자적인 생활을 했다. 미나세 시즈코와 결혼하여 3남 3녀를 두었으며, 두 아들은 신적강하하여 백작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니노미야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은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의 아들로, 막말 시대에는 공무합체파의 영수로 활동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구니노미야 가문을 창설하고 이세 신궁의 제주를 지냈다.
  • 구니노미야 -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인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은 일본 황족이자 육군 군인으로, 구니노미야 가문을 계승하고 육군 대장까지 승진했으며, 조선 독립운동가의 습격을 받은 후 원수로 추증되었고, 그의 딸은 쇼와 천황의 황후가 되었다.
  • 일본의 왕 - 모치히토 왕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인 모치히토 왕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헤이케 타도를 계획하고 겐지들에게 영지를 내려 거병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살해당했고, 그의 거병은 실패했지만 각지의 겐지들이 헤이케 멸망의 계기가 되었다.
  • 일본의 왕 - 아사카 야스히코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출신 군인으로 아사카노미야를 창설하고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나, 난징 대학살 연루 의혹과 전후 평민으로 강등된 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 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타카 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법원 예복을 입은 구니 타카 왕자
이름구니 타카 왕
원어 이름ja
한자 표기久邇宮 多嘉王
로마자 표기Kuni-no-miya Taka-ō
추가 정보1875년 8월 17일 – 1937년 10월 1일
신상 정보
출생일1875년 8월 17일
출생지교토, 일본
사망일1937년 10월 1일
사망지교토, 일본
아버지구니 아사히코 친왕
어머니이즈미테이 시즈에
결혼 및 가족 관계
배우자미나세 시즈코
노리히라 공주
자녀하츠코 여왕
요시히코 왕
코코 여왕
구니코 여왕
우지 이에히코 (이에히코 왕)
나시모토 노리히코 (노리히코 왕)
기타 정보
직책이세 신궁 제사장
칭호전하

2. 생애

황족 대례복을 착용한 다카 왕.


구니노미야 다카 왕은 1875년 8월 17일 교토에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과 이즈미테이 시즈에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시즈에는 교토 가모 신사의 신관인 이스미티세 슌에키의 둘째 딸이었다. 그의 이복형제로는 가야 구니노리 왕자, 구니 구니요시 왕자(고준 황후의 아버지),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자, 아사카 야스히코 왕자,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가 있었다.

다카 왕은 메이지 유신 시대의 정치인들이 불교와 황실 사이의 역사적 관계를 끊는 것이 정치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때 성인이 되었다.

다음은 다카 왕의 생애를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1875년 (메이지 8년)8월 17일 출생
1895년 (메이지 28년)7월 귀족원 의원 (황족 의원)
1907년 (메이지 40년)3월 6일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수훈
1909년 (메이지 42년)9월 23일 신궁 제주[1]
1917년 (다이쇼 6년)10월 31일 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
1937년 (쇼와 12년)10월 1일 사망


2. 1. 황실 제도 변화 속 이례적인 행보

1907년(메이지 40년), 황실전범이 증보되면서 왕이 신적강하하여 화족이 되는 길이 열렸다. 이전에는 남자 황족의 신적강하는 인정되지 않았고, 남자가 끊이지 않는 한 황족이 계속 증가하는 영세 황족제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황족이 양자를 들이는 것은 금지되었기 때문에, 남자가 없는 궁가는 단절될 수밖에 없었다. 황실전범 증보로 당시 궁가 당주 및 후계자가 아닌 왕은 모두 신적강하하여 화족이 되었으나, 다카 왕만은 신적강하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니시쿠니노미야" 창설을 위해 남겨졌다는 설이 있다.[1]

다카 왕 가문은 교토시 가미교구의 구니노미야 별저(현 호텔 KKR 교토 구니소)에 거주했으며, 구니노미야 본가와는 독립된 생활을 했다. 다카 왕의 자녀들은 도쿄의 가쿠슈인이 아닌 교토 시내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

메이지 천황은 다카 왕에게 새로운 왕가를 형성하거나 화족 작위로 귀족 신분으로 강등하라는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와 이복 형제들이 도쿄로 이주했지만, 다카 왕은 1895년 잠시 귀족원에서 임기를 보낸 기간을 제외하고는 교토에 계속 거주했다. 그의 이복 형제들과 다른 왕자들은 군에 임관했지만, 다카 왕은 군 복무를 하지 않았다.

3. 가족 관계

아버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어머니 : 이즈미테이 시즈에코

아내 : 미나세 시즈코

1907년, 자작 미나세 타다스케의 딸 미나세 시즈코와 결혼하여 3남 3녀를 두었다. 장녀 하츠코 여왕, 차녀 코코 여왕, 장남 요시히코 왕은 요절했다. 타카 왕이 궁가를 창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성한 두 아들은 신적강하하여 백작이 되었다.

순서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장녀하츠코 여왕1911년 4월 16일1915년 6월 26일요절
장남요시히코 왕1912년 5월 28일1918년 6월 18일요절
차녀코코 여왕1913년 12월 5일1918년 6월 27일요절
3녀쿠니코 여왕1917년 5월 18일2002년 7월 6일이세신궁 다이구지 니조 타네모토에게 하가
차남이에히코 왕1920년 3월 17일1942년 10월 5일, 우지(宇治|우지일본어) 성을 하사받고 백작
3남노리히코 왕1922년 11월 22일2007년 2월 7일1943년 6월 7일에 타츠타(龍田|다쓰타일본어) 성을 하사받고 백작, 전후 나시모토

[1][2][3]

4. 수훈

참조

[1] 서적 宮家の時代 : セピア色の皇族アルバム https://iss.ndl.go.j[...] 朝日新聞社
[2] 간행물 <聞き取り記録>八木通夫氏 「一中・三高・京大、軍隊」 https://hdl.handle.n[...] 京都大学大学文書館
[3] 문서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4] 뉴스 叙任及辞令 官報 1917-11-01
[5] 뉴스 叙任及辞令 官報 1931-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